본문 바로가기
요리..cooking

집밥기록 - ‘초간단 반찬’ 푸성귀로 봄나물 된장무침 만들기

by 미스집오리 2025. 4. 17.
반응형



봄철 되면 곳곳에서 나물 뜯으러 다니는 분들이 계시던데 친언니 아시는 분이 푸성귀를 잔뜩 캐서 나눠주셨다고 했다. 갑자기 생긴 푸성귀로 뭘 해야 할까 고민했는데 반찬으로 나물무침이 적당하겠다 싶었다.

콩나물 말고는 나물을 무쳐본 적이 없는데 살짝 데치기만 하면 솔직히 양념은 별거 없다고 해서 나물무침 도전!



푸성귀는 사람이 가꾼 채소나 저절로 난 나물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워낙 싱싱해서 다듬을 것도 없던 푸성귀. 검색해보니 참나물과 비슷한데 대가 참나물보다 조금 더 두꺼워 보였다.
그렇다고 방풍나물이나 깻잎처럼 호불호 강한 향은 아니라 딱 좋았던 봄나물인 것 같다.

먼저 잘 행궈서 건져두고 데칠 준비를 했다.


 


1. 끓는 물에 나물을 1분 미만으로 데쳐서 건진 후 물기를 꼭 짜준 다음 양념을 버무려준다.

 
나물 데치고 재료만 준비하면 다 된거나 다름 없다.


 

양념 준비물은 다진마늘, 된장, 참기름, 국간장, 깨소금이면 준비완료!


준비물과 요리단계는 초간단 그 자체이다.


고춧가루랑 액젓을 넣고 겉절이를 해도 맛있지만 개인적으로 나물은 된장무침이 밥반찬으로 제격인 것 같다.


400g 한근 기준으로 조금 넘는 정도 되는 양이었는데 언니랑 반씩 나눴다.


400g 기준일 경우 내가 한 레시피의 2배로 만들면 간이 딱 맞을 것 같다.

- 나물 200g 정도 양념 레시피


 



2. 된장 반스푼, 다진 마늘 반스푼, 참기름 반스푼, 국간장 반 스푼을 넣고 손으로 조물조물 버무려준다.

- 모든 계량은 밥숟가락 기준이다.

보통 시장에서 나물 한 근은 400g 기준이니까 한 번에 다 무친다면 한 스푼씩으로 계량하면 적당할 것 같다.

된장은 화학조미료나 방부제가 들어가지 않은 재래식 된장으로 준비.
 
 



3. 마지막으로 깨소금 솔솔 뿌려서 섞어줬다.




참나물이랑 비슷한 맛이났다.


시금치보다 훨씬 향긋해서 계란프라이랑 고추장만 넣고 밥 비벼먹기에도 제격이다.

봄동도 된장무침으로 많이 해 먹던데 다음에 세일하면 봄동으로도 만들어 봐야겠다.

반응형

댓글